IT85 텐서플로우 h5 모델 tflite로 변환 방법 Firebase ML을 사용해 머신러닝 모델을 배포하려면 .tflite 형식의 모델이 필요하다. 하지만 많은 경우 Keras나 TensorFlow에서 모델을 저장할 때 .h5 또는 SavedModel 형식으로 저장하게 된다. h5와 tflite의 차이점1. h5 (Hierarchical Data Format)h5는 Keras에서 모델을 저장할 때 자주 사용하는 포맷이다.모델의 구조와 가중치를 함께 저장할 수 있으며, Python 기반 환경에서 불러오기 용이하다.하지만 용량이 크고 모바일/임베디드 환경에서는 비효율적이다.2. tflite (TensorFlow Lite)TensorFlow Lite는 모바일, IoT 기기 등 리소스가 제한된 환경을 위한 경량화된 모델 형식이다.용량이 작고 실행 속도가 빠르며,.. 2025. 4. 5. [AI/ML]CNN과 블랙박스 현상 CNN(컨브넷)은 블랙박스인가?딥러닝 모델은 흔히 ‘블랙박스(black box)’로 불린다.이는 입력을 넣으면 결과가 나오지만, 그 결과가 어떻게 도출되었는지 내부 과정을 이해하거나 설명하기 어려운 구조이기 때문이다.그렇다면 이미지 처리에 널리 사용되는 CNN(Convolutional Neural Network, 합성곱 신경망)도 블랙박스일까?블랙박스란 무엇인가? 블랙박스란 내부 동작 원리를 명확하게 설명할 수 없는 시스템을 의미한다.딥러닝 모델은 수많은 층(layer)과 파라미터(parameter), 비선형 연산을 통해 입력 데이터를 추상화하고 최종 출력을 생성한다.하지만 이 과정은 인간이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렵고, 결과에 대한 명확한 해석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한다. CNN은 '덜한' 블랙박스이다.. 2025. 3. 25. [Flutter] flutter_dotenv 패키지 사용법 Flutter에서 환경 변수를 관리하기 위해 flutter_dotenv 패키지를 사용한다! .env 파일을 로드하여 애플리케이션에서 환경 변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,특히 API 키나 민감한 설정 값을 코드에 직접 하드코딩하지 않고 안전하게 관리할 때 유용하다. 1. flutter_dotenv 패키지 추가먼저, pubspec.yaml 파일에 flutter_dotenv 패키지를 추가해야 한다.dependencies: flutter: sdk: flutter flutter_dotenv: ^5.1.0이후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여 패키지를 설치한다.flutter pub get2. .env 파일 생성프로젝트 루트 디렉터리에 .env 파일을 생성하고, 환경 변수를 정의한다.API_KEY=your_api_.. 2025. 3. 24. [파이썬] 클래스 관련 용어, 객체 인스턴스 차이 쉽게 이해하기 파이썬에서 자주 등장하는 클래스, 객체, 속성, 메서드, 생성자, 인스턴스라는 용어는 처음 보면 헷갈릴 수 있다. 하지만 하나씩 천천히 살펴보면 금방 이해할 수 있다. 1. 클래스(Class)란?클래스는 설계도다.예를 들어, 로봇을 만들려면 먼저 로봇의 설계도가 필요하다. 이 설계도에는 로봇의 특징과 기능이 담겨 있다. 파이썬에서는 이 설계도를 클래스라고 한다.class Robot: name = "Robo" # 이름 -> 특징(속성) def greet(self): # 인사하기 -> 행동(메서드) print(f"Hello, my name is {self.name}!") 2. 객체(Object)란?객체는 클래스를 사용해서 만든 물건이다.로봇 설계도로 실제 로봇을 만든다고 생각하면,.. 2025. 1. 15. [파이썬] 람다 함수(Lambda) 쉽게 이해하기 파이썬에서 람다 함수란, 간단히 말해 이름 없는 함수를 의미한다.보통은 함수를 정의할 때 def 키워드를 사용해 이름을 붙이지만, 람다 함수는 이름 없이 간단하게 함수를 만들 때 사용된다. 람다 함수의 기본 형태는 다음과 같다:lambda 매개변수: 표현식 이렇게 간단하게 함수의 형태를 줄일 수 있다.람다 함수는 보통 한 줄로 작성되고, 간단한 작업을 처리할 때 유용하다. 왜 람다 함수가 필요할까?람다 함수는 코드를 짧고 간결하게 만들어 준다. 특히, 한 번만 사용할 간단한 함수를 만들 때 유용하다.예를 들어, 함수를 따로 정의하지 않고 바로 사용해야 할 때 편리하다. 예시 1.만약 우리가 사과를 팔고 있는데, 크기가 10보다 큰 사과만 골라내고 싶다고 해 보자. 일반 함수 사용:def 큰사과(사과크기).. 2025. 1. 14. [파이썬] 클로저(Closure) 쉽게 이해하기 클로저는 함수 안에 또 다른 함수를 넣어서, 내부 함수가 바깥 함수의 변수를 기억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기능이다.이 글에서는 클로저가 무엇인지, 왜 함수 안에 함수를 넣어야 하는지, 그리고 실생활에 적용 가능한 예제를 통해 이해해 보겠다. 클로저란?클로저는 함수 안의 함수로,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다.바깥 함수의 변수가 사라진 이후에도, 내부 함수가 그 변수를 기억하고 계속 사용할 수 있게 한다.마치 작은 상자 안에 데이터를 담아 두고, 필요할 때마다 꺼내 쓰는 방식이라고 생각하면 쉽다. 간단한 클로저 예제학생의 점수를 기록하고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한다고 가정해 보자. 아래는 클로저를 활용한 간단한 예제다:def 점수_저장(이름): 점수장 = [] # .. 2025. 1. 12. 이전 1 2 3 4 ··· 15 다음